다음은 "위키노믹스" 2장 피어 파이오니어 131쪽에서 발췌한 내용이다.
" IBM은 오픈소스와 기존 소프트웨어 설계가 뚜렷이 구분되는 점을 발견했다. 설계, 개발, 테스트, 유지보수 등의 단계들은 같지만 오픈 소스 커뮤니티는 구현, 테스트, 지원에 훨씬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고 사용자 요건이나 설계 사양에는 비교적 덜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독점 프로젝트는 코드 한 줄을 작성하기도 전에 기획이나 내부 인증 과정에 몇 달이 소요될 수 있다. 그러나 오픈 소스 프로젝트는 한 사람의 개인이 프로그램 일부를 작성하고 그것을 온라인에 올리면, 바로 시작될 수 있다. 새로운 코드나 컴파일링 결과가 날마다 발표되고, 전 세계 사용자들이 끊임없이 제품을 테스트하고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완제품이 무료이며 누구나 코드를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은 '출시'된 후에도 오랫동안 '개발 중' 상태를 유지한다"
위의 내용은 오픈소스 기반 설계관이 '참여적 설계관점'이 어떻게 실제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예시를 제공한다고 하겠다. 이러한 오픈소스 기반의 참여적 설계관을 만약 교수설계분야에 적용해 본다면 어떨까? 예를 들어 수업에서 다루어질 교과서는 위키형으로 제공된다. 위키형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하여 수업 사전에 그렇게 많은 학습자 분석과 설계에 시간을 소비할 필요가 없다. 오히려 교사 (학생으로 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는 그 주에 다룰 교과내용을 위키에 구현한다. 물론 학기초에 학 학기 수업계획안과 사전 준비 자료도 모두 학습자에게 오픈한다. 학생들은 교사가 올린 교과내용에 대하여 마음껏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덧붙이거나 기존 내용을 수정할 수 있다. 결국, 수업의 성과와 학업 성취물은 수업 사전에 교사에 의해 철저히 계획되어진데로 이끌어지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다양한 참여에 의해 만들어진다. 결국, 한 학기 참여형 수업의 결과물로 나타나는 위키형 교과서 자체가 참여형 수업설계의 완제품이 되는 것이다. 즉, 수업설계는 수업 사전에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 학습자들의 참여에 의해서 수업 진행과정동안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된다. 즉 수업설계는 수업이 최종 종료될 때 까지 '설계중(Beta)' 상태가 되는 것이다. 웹2.0이 적용되는 학습환경속에서는 가능한 수업설계 시나리오가 되지 않을까?
최근 Wikipedia의 놀라운 성과에 따라 Wikihow(개인의 노하우를 공유, 공동창작)Wikitravel(개인의 여행경험을 공유, 공동 창작), 위키소설(개인들이 참여하는 집단창작)따라 나타나고 있다고 한다.
최근 초등학교 교과서 재 편찬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수백명의 교수님과 수백명의 교사들이 참여하는 거대 프로젝트이다. 이러한 공식 프로젝트와 별도로 "위키교과서" 프로젝트를 해보는 것은 어떨까? 예를 들어, 인디스쿨이라는 자발적 교사공동체에는 우리나라 초등교사 15만여명중 12만여명이 참여하고 있는 거대 실천공동체이다. 이러한 인디스쿨에서 실험적으로 모든 교사들이 참여하여 내용을 올리고, 수정하고, 편집하는 교사 전체의 집단지성에 의해 만들어지고 끊임없이 수정보완되는 위키교과서.... 생각만 해도 짜릿한 일들이 일어나지 않을까?
예를 들어, 하인즈 워드 방문으로 촉발되었던 교과서의 단일민족 내용부분, 혼혈이나 가족문화에 대한 잘못된 내용들... 바뀌어야 될 내용인줄 알면서도 기존 교과서에서는 몇년동안이나 잘못된 내용을 유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위키교과서에서는 사회변화속도에 맞춰 다수의 공감대에 의해서 끊임없이 교과내용이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 교과서가 제공하는 수업방법 가이드는 두말할 필요도 없다.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 임상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수업전략을 교과내용에 첨부하기도 하고 삭제하기도 할 수 있다. 이미 인디스쿨이 해오는 일이기는 하지만....
댓글 없음:
댓글 쓰기